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리청정과 수렴청정 뭐가 다를까?

by practicestory 2025. 2. 16.
반응형

수렴청정 섬네일

조선의 역사, 청정이라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역사를 자랑하는 나라는 누가 뭐래도 조선입니다.

왕이 다스렸던 조선은 공식적으로 1392년에 건국되어 대한제국이 세워지기 전인 1897년까지 이어진 무려 5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왕조국가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으로 조선왕조는 장자가 왕위를 잇는 것을 왕권의 승계규칙으로 하고 있었던 국가.

하지만 이 오랜 역사 속에서 조선의 왕들은 장자가 아닌 이가 왕위를 이어나간 경우가 더 많았으며 왕위를 이어받았더라도 상당기간 제대로 된 왕권을 가지지 못하고 선대왕이나 혹은 왕실의 어른들에 의해 일명 청정되던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등장하게 되는 용어가 바로 수렴청정, 대리청정입니다.

 

청정(聽政)이란?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단어는 바로 '청정'이라는 단어입니다.

한자로는 聽政으로 표기되며 뜻 그대로를 살펴보면 '정치를 듣는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만 이 '정치를 듣는다'라는 의미가 단순히 경청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왕이 주도가 되어 신하들의 의견을 들어야 하는 곳에 와와 신하가 아닌 자가 들어와 이에 대한 내용을 듣고 의견을 전달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청정(聽政)은 단순히 정치를 듣는 것을 넘어 이를 관여하고 정치적인 의견을 내세우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때문에 왕을 대신하여 정치에 참여하거나 주도하는 일종의 섭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수렴청정(垂簾聽政)
왕위에 오른 왕을 대신하여 대왕대비등의 왕실어른이 지도하며 참여하는 것

수렴청정이란?

그렇다면 수렴청정이란 무엇일까요?

한자로 표기하면 수렴청정(垂簾聽政)으로 표기되는 이 용어는 의미 그대로를 따지자면 '발을 내리고 정치를 듣는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사극에서 보면 왕위를 물려받은 어린세자가 정치를 하기에는 너무나 어린 경우, 이를 도와 왕실의 어른인 대비(조선의 경우)가 왕위에 오른 어린 왕의 뒤에서 발을 치고 정치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 모습을 그대로 적용한 단어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성종-정희왕후, 명종-문정왕후, 선조-인순왕후, 순조-정순왕후, 헌종-순원왕후, 철종-순원왕후, 고종-신정왕후 조 씨 등 총 7명의 왕이 수렴청정을 받은 것으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대리청정(代理聽政)
왕을 대신하여 왕위를 이을 예정인 세자가 정치에 참여하는 것

대리청정이란?

그렇다면 대리청정은 무엇일까요?

대리 청정 역시 왕을 대신하여 왕이 아닌 이가 정사에 참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 경우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다음 대의 왕위를 물려받을 세자라는 것에 수렴청정과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조선은 왕이 사망하게 되면 다음 대의 왕위를 물려받기로 되어있는 세자가 왕위에 올랐습니다.

하지만 일정한 사정이 있어 왕이 사망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세자가 조금 일찍 조정을 이끌어 나가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경우를 일러 대리청정이라고 일컫게 됩니다.

 

대리청정은 일반적으로 왕이 정상적으로 정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거나 혹은 세자의 자리에 올라 이미 과년한 나이에 이른 세자가 왕위에 오른 뒤 좀 더 안정적으로 조정을 이끌어나기 위한 방편으로 활용되었는데 조선의 경우 세종대의 왕세자 문종, 숙종대의 왕세자 경종, 경종대의 왕세손 영조, 영조대의 왕세자 장조(사도 세자), 영조대의 왕세손 정조, 순조대의 왕세자 익종(효명 세자)이 대리청정을 실시하며 그 경험을 쌓았던 것으로 기록이 남아있습니다.


2025.01.23 - [Mirroring] - 위헌정당 해산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할까?

 

위헌정당 해산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할까?

위헌정당 해산이란?위헌정당의 해산이란 간단하게 그 의미를 살펴본다면 헌법을 위반한 정당활동을 하거나 그를 목적으로 구성된 정당을 법적절차에 따라 해산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우

mirroringstorypractice.tistory.com

2025.01.09 - [Mirroring] - 상호확증파괴란? - 심리학? 혹은 군사용어

 

상호확증파괴란? - 심리학? 혹은 군사용어

상호확증파괴는 무엇일까? 알듯 모를 듯상호확증파괴는 흔히 확증편향이라는 또 다른 용어와 혼동을 일으키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아무래도 확증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용어들이 그리

mirroringstorypractic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