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에서 자주 사용하는 So와 Too의 차이점은 뭘까?
So와 Too는 영어를 배우는 동안 또는 실로 영어로 말하는 동안에도 꽤나 자주 등장하게 되는 단어입니다.
이 두 단어는 무언가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 문장의 요소로서 우리나라의 문장구조에서도 자주 등장하게 되는 부사에 해당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So와 Too는 둘 다 부사이다.
문장 성분상 부사의 역할은 동사와 형용사인 용언과, 또 다른 부사, 혹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부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우는 동사나 형용사 앞에 위치해 이 두 가지 용언들을 강조하거나 수식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이는 영어에서도 마찬가지로 So와 Too 모두 동사나 형용사 등을 수식하거나 혹은 또 다른 부사, 문장전체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때 So와 Too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So와 Too는 둘 다 의미적으로는 강조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만 So와 Too에는 매우 미묘한 차이가 있으니 각각 문장 내에서 비슷한 의미로 해석되지만 뉘앙스적인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부정어가 없는 일반 문에서 모두 사용되며 이 일반문내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의 뉘앙스를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어로 표현해보자면 So는 '매우, 아주, 정말' 등의 의미로 주로 해석됩니다.
반면, Too는 의미적으로는 '너무'에 가까운 의미로 해석됩니다.
보통은 So는 긍적적인 의미를 강조할 때, Too는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할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So : He looked so pretty에서의 so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는 pretty의 의미를 강조하며 '그는 너무 예쁘다'로 해석됩니다.
Too: That's too much. 에서의 too는 much의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하며 '너무 과하다'로 해석합니다.
주의!
다만 So의 경우 예외적으로 부정문에서 부정문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구문들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꼭 문장 내에 부정을 의미하는 단어가 포함되거나 혹은 상대가 부정문을 받은 경우에 대해 강력한 동의를 할 때 사용한다는 것을 기억해 주세요.
예) "that's so not fair" - 문장 내에 부정을 의미하는 not을 포함하며 Fair가 아닌 not을 강조합니다.
2024.07.12 - [Mirroring] - 고소와 고발 뭐가 다를까? 고소, 고발 차이점 알아보기
고소와 고발 뭐가 다를까? 고소, 고발 차이점 알아보기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별로 맞닥뜨릴 일이 없는 단어, 하지만 누구나 나의 일로 닥칠 수 있는 일 중에는 법률적인 해결 방법이 필요한 일들이 분명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mirroringstorypractice.tistory.com
2024.08.21 - [Mirroring] -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차이점 - 뭐가 다를까?
블랙홀과 화이트홀의 차이점 - 뭐가 다를까?
우주에 존재하는 신비로운 현상, 그리고 블랙홀과 화이트홀.우리는 언제나 우리가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궁금증을 가집니다.그리고 그 대상은 때로는 사후세계였다가, 때로는 아직 도래하지
mirroringstorypractice.tistory.com
댓글